박사

어머니와 남녀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모-자녀 의사소통, 갈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자기-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 작성일 : 2021-03-16
  • 조회수 : 566
  • 작성자 : 조연수
본 연구는 Bowen(1966)의 가족체계이론과 Cook과 Kenny(2005)의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델 및 Ledermann, Macho와 Kenny(2011)가 제안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델을 기초로, 어머니와 남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갈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상대방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와 남녀 청소년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13~16세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 총 249쌍(4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자녀 의사소통은 Barnes와 Olson(1982)이 제작한 부모-청소년 의사소통 척도(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PACI)를 민하영(1991)이 부모용과 자녀용으로 번안한 것을 어머니용과 자녀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모-자녀 갈등은 모-자녀 간 불평 및 불만 척도(Conflict Behavior Questionnaire, CBQ)(Prinz, Foster, Kent & O'Leary, 1979)를 황영은과 도현심(2004)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Keyes, Wissing, Potgieter, Temane, Kruger와 van Rooy(2008)가 개발한 단축형 정신건강 척도를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2012)가 번역하고 타당화한 한국형 정신건강 단축척도(Korean Mental Health Continum Short-Form, K-MHC-SF)의 일부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갈등, 심리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의 자기-상대방효과에서 부분적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에서 남자 청소년의 경우, 부분적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여자 청소년은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자기효과만이 유의미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갈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는 남녀 청소년 모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에서는 남녀 청소년 모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부분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에서 부분적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녀 청소년 모두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적 자기효과와 간접적 상대방효과가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모-자녀 의사소통이 모-자녀 갈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에서 남녀 청소년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우선 자기효과에 있어, 어머니가 지각한 모-자녀 갈등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가 지각한 모-자녀 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의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상대방효과에 있어, 어머니가 지각한 모-자녀 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가 지각한 모-자녀 갈등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의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양방향성이 강조되는 청소년기 모-자녀 관계에서 서로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계적 변인과 성차를 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가족체계적 접근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상담적 개입 및 가족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